다년차 마을활동가 역량도출 및 지원방안

연구 개요
  • 연구제목: 다년차 마을활동가 역량도출 및 지원방안
  • 발주기관: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 기간: 2018년 8월 - 12월
  • 연구진: 우성희, 백희원, 송하진, 윤자형
연구 내용
  • 이 연구는 마을공동체를 일구며 사는 시민의 필요 역량을 분석하여, 마을공동체 활동가를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한 종합교육지원 설계 기초 자료로 활용하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습니다.
  • 연구대상은 다년차 마을활동가입니다. 다년차 마을활동가 가운데 청년의 특성은 구분하여 좀 더 면밀하게 살펴보았습니다. (다년차 마을활동가는 2년 이상 마을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마을리더와 참여자입니다.)
  • 역량은 ‘효과적이고 탁월한 성과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적특성’입니다.
연구결과
  • 연구결과 다년차 마을활동가들의 5가지 역량군과 39개 역량이 도출되었습니다. 역량군은 크게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역량'과 '활동을 지속하기 위한 역량', 그리고 두 범주의 공통요소인 '공통 역량'으로 제시되었습니다.



연구의 특징
  • 당사자를 드러내는 연구: 이 연구는 마을활동가는 누구이며 무엇을 필요로하는가에 대한 귀납적 연구로서, 기존의 현장에서 활동하는 다년차 마을활동가들의 진입경로, 욕구, 역량 등을 담은 상세한 정보를 담았습니다.  
  • 전달성 있는 결과물: 가급적 연구 참여자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보고서에 담고, 독자들에게 쉽고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퍼소나를 제시했습니다. 
  • 실용성: 퍼소나를 통해 정책입안자나 교육기획자들이 수요자를 이해하기 쉽도록 하였고,  도출한 역량에 대해 마을활동가 스스로가 자가 진단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제공했습니다. 
  • 다각적 검토: 당사자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상향식 연구방법을 적용하였고, 이를 분석한 내용에 대해 다시금 연구 참여자와 전문가, 이해관계자들의 검토와 활용방안에 대한 논의를 담음으로써 당사자 및 이해관계자가 공감할 수 있는 결과물을 도출했습니다.
  • 청년 마을활동가에 대한 이해 제고: 이 연구에서는 다년차 마을활동가 가운데 청년들의 특징을 별도로 깊이 살펴보았습니다. 
연구보고서 보기

자주하는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