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뒤로
알림 설정
뒤로
더보기
게시물 알림
내 글 반응
내가 작성한 게시물이나 댓글에 다른 사람이 댓글이나 답글을 작성하면 알려줍니다.
공지사항
사이트에서 보내는 중요한 공지를 실시간으로 알려줍니다.
Alarm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소개
프로젝트
콘텐츠
액션리서치
블로그
닫기
듣는연구소
소개
프로젝트
콘텐츠
액션리서치
블로그
로그인
장바구니
0
site search
듣는연구소
로그인
장바구니
0
MENU
프로젝트
다년차 마을활동가 역량도출 및 지원방안
연구 개요
연구제목: 다년차 마을활동가 역량도출 및 지원방안
발주기관: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기간: 2018년 8월 - 12월
연구진: 우성희, 백희원, 송하진, 윤자형
연구 내용
이 연구는 마을공동체를 일구며 사는 시민의 필요 역량을 분석하여, 마을공동체 활동가를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한 종합교육지원 설계 기초 자료로 활용하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습니다.
연구대상은 다년차 마을활동가입니다. 다년차 마을활동가 가운데 청년의 특성은 구분하여 좀 더 면밀하게 살펴보았습니다. (다년차 마을활동가는 2년 이상 마을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마을리더와 참여자입니다.)
역량은 ‘효과적이고 탁월한 성과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적특성’입니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다년차 마을활동가들의 5가지 역량군과 39개 역량이 도출되었습니다. 역량군은 크게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역량'과 '활동을 지속하기 위한 역량', 그리고 두 범주의 공통요소인 '공통 역량'으로 제시되었습니다.
연구의 특징
당사자를 드러내는 연구: 이 연구는 마을활동가는 누구이며 무엇을 필요로하는가에 대한 귀납적 연구로서, 기존의 현장에서 활동하는 다년차 마을활동가들의 진입경로, 욕구, 역량 등을 담은 상세한 정보를 담았습니다.
전달성 있는 결과물: 가급적 연구 참여자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보고서에 담고, 독자들에게 쉽고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퍼소나를 제시했습니다.
실용성: 퍼소나를 통해 정책입안자나 교육기획자들이 수요자를 이해하기 쉽도록 하였고, 도출한 역량에 대해 마을활동가 스스로가 자가 진단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제공했습니다.
다각적 검토: 당사자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상향식 연구방법을 적용하였고, 이를 분석한 내용에 대해 다시금 연구 참여자와 전문가, 이해관계자들의 검토와 활용방안에 대한 논의를 담음으로써 당사자 및 이해관계자가 공감할 수 있는 결과물을 도출했습니다.
청년 마을활동가에 대한 이해 제고: 이 연구에서는 다년차 마을활동가 가운데 청년들의 특징을 별도로 깊이 살펴보았습니다.
연구보고서 보기
작성
청년들의 ‘커뮤니티-하기’를 탐색하기
서울혁신파크 입주단체 협력모델 구축방안 연구
목록
자주하는 질문
연구 개요
연구제목: 다년차 마을활동가 역량도출 및 지원방안
발주기관: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기간: 2018년 8월 - 12월
연구진: 우성희, 백희원, 송하진, 윤자형
연구 내용
이 연구는 마을공동체를 일구며 사는 시민의 필요 역량을 분석하여, 마을공동체 활동가를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한 종합교육지원 설계 기초 자료로 활용하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습니다.
연구대상은 다년차 마을활동가입니다. 다년차 마을활동가 가운데 청년의 특성은 구분하여 좀 더 면밀하게 살펴보았습니다. (다년차 마을활동가는 2년 이상 마을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마을리더와 참여자입니다.)
역량은 ‘효과적이고 탁월한 성과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적특성’입니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다년차 마을활동가들의 5가지 역량군과 39개 역량이 도출되었습니다. 역량군은 크게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역량'과 '활동을 지속하기 위한 역량', 그리고 두 범주의 공통요소인 '공통 역량'으로 제시되었습니다.
연구의 특징
당사자를 드러내는 연구: 이 연구는 마을활동가는 누구이며 무엇을 필요로하는가에 대한 귀납적 연구로서, 기존의 현장에서 활동하는 다년차 마을활동가들의 진입경로, 욕구, 역량 등을 담은 상세한 정보를 담았습니다.
전달성 있는 결과물: 가급적 연구 참여자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보고서에 담고, 독자들에게 쉽고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퍼소나를 제시했습니다.
실용성: 퍼소나를 통해 정책입안자나 교육기획자들이 수요자를 이해하기 쉽도록 하였고, 도출한 역량에 대해 마을활동가 스스로가 자가 진단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제공했습니다.
다각적 검토: 당사자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상향식 연구방법을 적용하였고, 이를 분석한 내용에 대해 다시금 연구 참여자와 전문가, 이해관계자들의 검토와 활용방안에 대한 논의를 담음으로써 당사자 및 이해관계자가 공감할 수 있는 결과물을 도출했습니다.
청년 마을활동가에 대한 이해 제고: 이 연구에서는 다년차 마을활동가 가운데 청년들의 특징을 별도로 깊이 살펴보았습니다.
연구보고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