듣는연구소는 “수많은 간담회와 연구에도 불구하고 왜 현장의 목소리는 정책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을까?“ 라는 질문을 던진 두 독립연구자가 2017년 설립한 연구활동가 그룹입니다. 현장에서의 경험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활동가들과, 현장이 공감할 수 있는 정책을 실행하고자 하는 지원조직의 파트너로 협업해왔습니다. 동료 연구활동가들과의 워크숍 및 세미나를 통해 듣는 연구 방법론을 정리하고 알리는 활동도 함께 합니다.
연구보고서
자주 묻는 질문
당사자 참여연구, 질적 연구 방법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연구 결과물이 나오기까지 소요될 충분한 시간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시간과 인력의 투입을 요하는 연구용역사업의 특성상 일년에 할 수 있는 과업의 수가 제한적입니다. 연구가 필요할 때 조기에 연락을 주십시오. 일년중 하반기보다는 상반기에 의뢰한 건이 성사 확률이 높습니다.
듣는연구소 이메일 finding.lab@gmail.com 으로 연구 의뢰 내용을 적어서 보내주시면 3일 이내에 회신을 드립니다.
연구 의뢰 전 읽어보면 좋은 글: https://brunch.co.kr/@labfinding/33
듣는연구소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FindingLAB
듣는연구소 홈페이지: https://findinglab.kr
연구 예산이 있는 기관의 연구 용역을 받는 것 외에도 듣는연구소는 연구가 필요한 활동가 개인이나 단체와 함께 연구하거나, 연구를 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활동가 개인이나 단체에서 가진 자원을 활용해 적정 수준으로 할 수 있도록 기획이나 진행을 돕거나, 연구 목적 및 내용에 따라서 파트너쉽을 맺고 듣는연구소와 활동 단체가 외부 자원을 활용하여 함께 연구하는 방법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듣는연구소의 미션은 특정 주제나 분야에 있지 않고 현장의 목소리를 잘 담아서 솔루션을 낸다는 접근 방법에 있습니다. 따라서 특정한 주제를 다루지는 않습니다. 연구 목적이 듣는연구소가 지향하는 현장의 변화와 부합하는지를 고려합니다. 다만 당사자들의 경험을 분석하여 그 의미나 내용을 드러내는 작업을 하다보니 주로 기성의 사회에서 모호하거나 잘 드러나지 않았던 주체의 경험을 드러내는 - 공동체, 청년, 로컬의 삶 등 - 주제를 많이 다루어왔습니다.
연구레터 구독하기
듣는연구소의 연구 소식을 비정기적으로 보내드립니다.